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뉴욕시 대중교통 무임승차 비율 줄었다

지난해 뉴욕시 대중교통의 무임승차 비율이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29일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는 “지난해 뉴욕시경(NYPD)의 집중 단속 이후 전철과 버스 무임승차 비율이 하락했다”고 밝혔다.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전철 승객 중 무임승차한 비율은 전체의 10%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2024년 3분기 13%보다 3%포인트 줄어든 수치다. MTA 추산에 따르면 같은 기간 버스 무임승차 비율은 44%로, 3분기 48%보다 4%포인트 감소했다.     재노 리버 MTA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무임승차 비율이 줄어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NYPD 단속을 늘린 결과”라고 설명했다.     실제 지난해 전철 시스템의 무임승차 체포 건수는 전년 대비 67% 증가했으며, 소환장 발부 건수도 전년 대비 19%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무임승차 관련 단속(조사, 체포 등) 건수는 약 2만4000건으로 나타났다. MTA 관리들은 29일 “버스 무임승차에 대한 단속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무장하지 않은 MTA 단속 요원과 NYPD 경관을 투입해 버스 무임승차자들에게 티켓을 발급하겠다는 계획이다.     프랭크 애니카로 NYC 트랜짓 부사장은 “버스 무임승차를 줄이기 위한 더 많은 방법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MTA는 무임승차 단속을 위해 100대의 버스에 카메라를 설치해 이를 테스트 중이라고 전했다.     리버 회장은 2023년 “무임승차로 인해 MTA는 연간 6억 달러 이상 손실을 입는다”는 내용이 담긴 보고서를 발표했다.   하지만 일부 교통 옹호자들은 “납세자들의 세금은 (무임승차 감시·적발보다) 전철과 버스 서비스 개선을 위해 사용돼야 한다”며 우려하기도 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대중교통 무임승차 버스 무임승차자들 무임승차 비율 무임승차 단속

2025-01-30

MTA 무임승차 감시, 티켓 늘었지만 효과는 미미?

재정난에 시달리는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가 전철·버스 무임승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효과는 미미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3일 지역 매체 고다미스트는 MTA 데이터를 인용, “올해 4~6월 뉴욕시 대중교통 승객의 14%가 요금을 내지 않고 이용한 것으로 파악됐다”며 “MTA의 각종 조치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같은 기간 뉴욕시 무임승차 비율(12.5%)보다 오히려 높아진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와 함께 고다미스트는 민간 경비원 투입·뉴욕시경(NYPD) 전철역 배치 등이 무임승차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효과가 적다며 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해결 방안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NYPD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에 경찰이 무임승차를 시도하던 이들에게 발부한 티켓은 약 7만 건에 달했다.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티켓 발부 건수는 5.5% 늘어났지만, 실제로 무임승차율을 줄이는 데는 효과를 못 내고 있다는 지적이다.     또한 강압적으로 무임승차 단속을 하면서 경찰과 요금회피자 간 불필요한 충돌도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브루클린 브라운스빌 전철역에서 경찰이 무임승차를 시도하는 승객과 대치하다 총격을 가해 부상자가 발생한 것이 대표적 사례다.   그러나 재노 리버 MTA 회장은 “무임승차 문제를 그대로 둘 경우 요금을 제대로 지불하는 승객들과의 공정성 문제도 있다”며 무임승차 단속을 계속 강화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밝힌 바 있다.     고다미스트는 “최근 MTA의 5개년 장기 프로젝트 계획을 보면, 684억 달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며 “무임승차로 인한 연간 손실은 7억 달러 수준인데, 오히려 주정부에서 제대로 자금을 유치하는 것이 MTA의 더 중요한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무임승차 티켓 무임승차 감시 무임승차 문제 무임승차 단속

2024-09-2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